전체 글535 Json Parser에서 특정문자(\n, \r, \t 등)는 어떻게 처리해야할까? json을 parse해야하는데 그 string 안에 \n가 있다면, 바로 에러가 떨어진다. 개행을 꼭 넣어야한다면, \\n으로 \를 하나 더 붙여서 저장하면 json parse 할 때 문제가 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를 하나 더 붙여주니 더이상 에러가 나지 않는다. 이유는 \n 자체가 특정문자이기 때문이다. \n뿐 아니라 \r \t \f 모두 마찬가지이다. 기억하자. \는 \를 하나 더 붙인다. 2021. 11. 8. 다양하게 쓰이는 < 표현 알아볼까요!? ' 2021. 10. 27. y2k38 문제란 무엇일까요? 2038년 문제 현재 컴퓨터들은 0 과 1의 비트연산으로 처리되고 있죠. 앞으로 양자컴퓨터가 나오기 전까지는 이 체제가 변경되진 않겠죠. 여튼 유닉스 시간에 32비트 정수형을 쓰는 컴퓨터가 전세계에 많이 있습니다. 모든 컴퓨터의 시계가 UTC 0을 기준으로 2038년 1월 19일 3시 14분 07초가 되면 int max가 되면서 음수로 변경되게 됩니다. 어떤 사이드 이펙트가 날지는 프로그램마다 다르겠지만, 문제점을 미리 대비해두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32비트의 int 최대값은 2147483647입니다. 이거를 넘어가게 되면 오버플로우라고 명하는데요. 0111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 위와 같이 최대값이 2147483647가 되는것이지요. 여기서 1이 더해진다면 아래와 같이 되는데요.. 2021. 10. 12. linux 호스트네임 hostname 변경방법(내맘대로 변경하기) debian 입니다. 계정명@xxxxx:~/ 위와 같이 xxxxx 같은 이름은 뭘까?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저거의 이름은 바로 hostname(호스트네임)입니다. 저 이름을 내 맘대로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드릴건데요. 설정하는 방법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설정하는 방법은 저 빨간부분만 변경하시면 됩니다. hostnamectl set-hostname develop 전 develop 이라는 단어로 변경했는데요.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hostnamectl 그러면 Static hostname 부터 다양한 정보가 나타나게 됩니다. 다른 명령어들도 궁금하다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hostnamectl --help 여러가지 기능들이 있지요. 2021. 10. 5. eml 파일 여는 방법(feat. mht) 첨부파일로 받은 파일확장자가 eml이면 당황스럽습니다. 쓰지도 않는 Outlook이 켜지면서 계정도 없는데 뭔가 작업해야하니까요. 이걸 우회하는 방법을 공유드립니다. 파일을 확장자를 변환해서 보는건데요. *.eml 파일을 *.mht 파일형식으로 이름을 바꿉니다. mht 확장자는 MHTML 파일의 확장자 혹은 MHTML 파일 포멧 자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웹브라우저에서 열릴 수 있게 되겠죠. 그리고 드래그 앤 드롭으로 IE에 얹어놓으면 끝납니다. 물론 첨부파일은 안보일 수 있지만, 대략적인 메일 내용은 볼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2021. 9. 28. 크롤러(crawler) 만들기(주의 : 실사이트 테스트하면 안됨) 크롤링(Crawling)이란? 크롤링 혹은 스크래핑은 웹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요청 페이지들 안에 있는 url들을 print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라는 페이지를 열면, 그 안에는 다양한 url들을 호출하는 페이지가 있다. 네이버나 다음 메인페이지를 누르게 되면, 수많은 요청문과 함께 이미지 파일들과 css파일, json파일등등이 쏟아져 받아진다. robot.txt 라는 파일을 보고 가져올지 말지를 정해야하는데, 그건 나중에 따로 개발해야한다. 구성방식 1. 먼저 실행시에 크롤링할 IP를 입력 받는다. 2. 입력받은 IP가 ssl인지 여부를 확인 후 크롤러를 실행시킨다. 3. crawled_urls 함수를 이용해 crawl을 실행한다. 4. url.. 2021. 9. 18. file 명령어로 mime type 확인하기 mime type은 무엇일까요? 일단 MIME이란?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의 약자입니다. 인터넷 메일의 파일형태를 의미하는 것이지요. 어쨌든 파일이 있다면, 해당 파일의 앞부분에는 MIME이 들어있습니다. 그걸 추출해서 알려주는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file --mime-type [파일명] 위와같이 명령하면 이 파일이 어떤 형태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예시] 2021. 9. 16. sftp 사용방법(업로드/다운로드) ftp 중 보안을 위해 sftp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ssh에서 다운로드하는 방법입니다. sftp [계정명]@[SFTP IP] 위의 명령어대로 입력하면 됩니다. 로그인을 하게 되면 리눅스 쉘 명령어처럼 이동할 수 있습니다. 현재 위치의 pwd 라든지 현재 폴더의 파일목록 볼 수 있는 ls라든지 cd로 폴더를 이동하는 것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업/다운로드 할 위치로 이동 후에 다운로드는 get 명령어로, 업로드는 put 명령어로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get [FILE NAME] 업로드 put [FILE NAME] 2021. 9. 15.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6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