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521

pennyroyal.exe 응용 프로그램 오류 부팅시마다 오류 발생 pennyroyal.exe 라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부팅시마다 아래와 같은 오류를 내고 있는데요. 무슨 프로그램일까? 이 프로그램이 뭔지부터 살펴보았습니다. 예티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악성 웹 사이트 탐지 서비스(APS Engine) 관련 프로그램입니다. 삭제 방법 시작을 누르고 제어판에 가서 yettiesoft 를 검색해보면 아래와 같이 2021년 2월 5일에 설치되어 있는걸 볼 수 있죠. 우클릭 후 "제거/변경(U)" 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완전히 제거되었다는 안내메시지가 뜹니다. 이제 부팅을 하더라도 오류 메시지 알림이 뜨지 않게 됩니다. 2022. 3. 8.
IE 접속하면 엣지로 redirect 된다면? IE를 틀었는데 갑자기 Microsoft Edge로 리다이렉트가 되는 경우 엣지에 들어가서 설정에 들어갑니다. (오른쪽 위 끝에 ... 이 있습니다) 설정을 눌러 들어가서, 기본 브라우저로 들어갑니다. 그 뒤로 "Internet Explorer 호환성" 영역에서 아래 설정을 변경하면 됩니다.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Microsoft Edge에서 사이트를 열어 보세요. 총 3가지 선택목록이 있는데, 안 함으로 설정하면 됩니다.(아마 항상(권장)으로 되어 있었을거에요) 2022. 2. 14.
ubuntu 용량 1TB 하드 200G 인식 => 최대로 인식하게 수정하는 방법 우분투를 설치하여 용량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이 1TB가 있지 않습니다. 대략 200G정도밖에 안쓰는것 같은데 나머지는 어디갔을까요? 아래 명령어로 보면 1TB 라는걸 확인해볼 수 있죠. fisk -l 그럼 왜 fdisk 명령어로 용량이 모두 안보일까요? 아래 명령어로 확인해보죠. sudo lsblk nvme0n1에 953.9G가 할당되어 있습니다. 그 중 nvme0nlpp3에 952.4G가 part로 되어 있죠.(그 위에는 boot 관련이니 넘어가죠) 그 하위로 lvm이 200G 잡혀있습니다. 우분투에서 설치하면 알아서 이렇게 잡는것 같아요. 이걸 늘리면 되겠죠? 아래 명령어로 300G 먼저 늘려보았습니다. sudo lvextend -L+300G /dev/mapper/ubuntu--vg-ubuntu--.. 2022. 2. 9.
memcached 값 확인방법 memcached를 사용하면, 여러 프로세스에서 같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shared memory 같은 느낌이랄까. memcached는 무엇일까? 바로 daemon(대몬)이다. shared memory 처럼 메모리상으로 저장되어 있는게 아니라 프로세스로서 떠 있는것이다. 따라서 재시작이 되면 저장한 값이 날아간다는 것을 주의해야한다. 자 그럼, memcached 내에 들어가서 값을 확인해보자. memcached 가 설치되어 있는 쉘로 들어가서 telnet을 이용하여 접속하자. telnet localhost 11211 포트가 11211 이기 때문에 로컬에 11211로 접속한다. 직접 set을 할 수 있고, get을 할 수 있다. set을 한번 보자. 빨간색으로 쓴 값을 채워야한다. set ex) 저장.. 2021.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