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TIP386

eml 파일 여는 방법(feat. mht) 첨부파일로 받은 파일확장자가 eml이면 당황스럽습니다. 쓰지도 않는 Outlook이 켜지면서 계정도 없는데 뭔가 작업해야하니까요. 이걸 우회하는 방법을 공유드립니다. 파일을 확장자를 변환해서 보는건데요. *.eml 파일을 *.mht 파일형식으로 이름을 바꿉니다. mht 확장자는 MHTML 파일의 확장자 혹은 MHTML 파일 포멧 자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웹브라우저에서 열릴 수 있게 되겠죠. 그리고 드래그 앤 드롭으로 IE에 얹어놓으면 끝납니다. 물론 첨부파일은 안보일 수 있지만, 대략적인 메일 내용은 볼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2021. 9. 28.
file 명령어로 mime type 확인하기 mime type은 무엇일까요? 일단 MIME이란?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의 약자입니다. 인터넷 메일의 파일형태를 의미하는 것이지요. 어쨌든 파일이 있다면, 해당 파일의 앞부분에는 MIME이 들어있습니다. 그걸 추출해서 알려주는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file --mime-type [파일명] 위와같이 명령하면 이 파일이 어떤 형태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예시] 2021. 9. 16.
sftp 사용방법(업로드/다운로드) ftp 중 보안을 위해 sftp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ssh에서 다운로드하는 방법입니다. sftp [계정명]@[SFTP IP] 위의 명령어대로 입력하면 됩니다. 로그인을 하게 되면 리눅스 쉘 명령어처럼 이동할 수 있습니다. 현재 위치의 pwd 라든지 현재 폴더의 파일목록 볼 수 있는 ls라든지 cd로 폴더를 이동하는 것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업/다운로드 할 위치로 이동 후에 다운로드는 get 명령어로, 업로드는 put 명령어로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get [FILE NAME] 업로드 put [FILE NAME] 2021. 9. 15.
OWASP Top 10 2021버전이 나왔습니다.(DRAFT FOR PEER REVIEW) 아직 초안이긴한데 일단 2021년 OWASP Top 10이 나왔습니다. 그 전에 나온게 2017년 그 전은 2013년도인데요. 4년마다 나오는군요.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총 3가지가 새로 생겼네요. A04:2021-Insecure Design A08:2021-Software and Data Integrity Failures A10:2021-Server-Side Request Forgery 각각 내용을 살펴볼까요? A04:2021-Insecure Design is a new category for 2021, with a focus on risks related to design flaws. If we genuinely want to "move left" as an industry, it calls .. 2021. 9.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