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TIP375

Xen(ubuntu) volumn 디스크 늘리기, 파티션확장(growpart) VM을 생성하고 사용하다가 용량이 부족할 때가 있죠? 어떻게 파티션 확장을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환경] Xen 서버 안에 ubuntu VM 의 파티션을 확장합니다. [방법] 먼저 Xen 서버에서 수정할 VM을 Shut Down(끄기) 후 Storage를 열어봅니다. 이제 Properties를 눌러서 아래와 같이 50G(기존 용량)였던 용량을 80G(원하는 용량)로 늘려줍니다. 다시 VM을 켜주고 Shell에 들어갑니다. lsblk 명령어를 입력하면 xvda 와 xvda1의 SIZE가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xvda1은 50G인데 새로 설정한 값이 80G였기 때문에 xvda는 80G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제 growpart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건데, 먼저 설치부터 해야합.. 2023. 4. 27.
apache 웹서버 실행시 사용된 php.ini 설정 확인해보기 apache2를 실행했을 때 php 버전이 여러개 설치되어 있다면 어떤 설정을 바꿔야 먹히는지 알기 쉽지 않겠죠? 그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아래 명령어로 php.ini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php -i | grep php.ini 만약 Ubuntu Linux의 php 7.4라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Configuration File (php.ini) Path => /etc/php/7.4/cli Loaded Configuration File => /etc/php/7.4/cli/php.ini Loaded Configuration File 를 확인해보면 됩니다. 이제 저 위치의 php.ini 설정을 바꾸고 apache를 재시작 하면 되겠죠? 그런데도 안된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도 있.. 2023. 4. 20.
docker를 이용한 rabbitmq 실행하기(rabbitmq 15672 포트 접속시 연결 불가(http://localhost:15672)) - 도커 플러그인 enable docker를 이용해 rabbitmq를 설치하고 컨테이너를 띄웠습니다. [참고] docker run -d -p 15672:15672 -p 5672:5672 --name rabbitmq rabbitmq 하지만 이게 왠걸, rabbitmq 15672 포트 접속시 연결 불가(http://localhost:15672)로 뜨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진행해야 할까요? 바로 도커에서 플러그인을 enable로 하는 명령어를 실행시켜주면 됩니다. docker exec rabbitmq rabbitmq-plugins enable rabbitmq_management 이제 로그인할 수 있는 화면이 떴습니다. guest/guest로 입력하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2023. 4. 17.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flict. The container name "/rabbitmq" is already in use by container docker를 실행하다보면 아래와 같이 에러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Docker Error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flict. The container name "/rabbitmq" is already in use by container 내용은 이미 컨테이너 이름이 있으니 다른이름으로 하든지 기존 등록된 이름을 지우고 다시 사용하라는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처리할까요? 내용 그대로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됩니다. --name 뒤의 이름을 바꾸면 되는데 그건 간단하니 두번째 방법인 기존 등록된 이름을 지우고 다시 사용하겠습니다. 명령어는 에러로그에 나와있는 container 이름을 복붙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마지막 문자열만 다르겠죠?) docker .. 2023. 4.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