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2

Linux hex dump로 보여주는 명령어 xxd 무슨 값인지 확인하는 방법(눈에 안보이는 null 등 확인가능) 파일을 열어서 데이터를 확인할 일이 있죠? 하지만 눈에 보이는게 다가 아니라는건 실제 파일에 대해 문제가 생겼을 때 알게 됩니다. 눈에 보이기엔 평범한 데이터 같은데 왜 오류가 날까? 그건 바로 데이터 안에 사람 눈엔 보이지 않는 값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 눈에 안보이는 값들?? 파일을 열어서 보게 되면 깨진 글자들이 보일 때가 있죠? Ascii에 포함되지 않는 값들, 특수기호들 등등은 대부분 깨진문자들로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너리값들은 말할 나위없이 깨져보이겠지요. cat이나 vi 같은 명령어로 파일을 읽어보면, 스페이스나 Null 같은 데이터는 아예 보여주지도 않습니다. 이게 스페이스를 한건지 개행을 한건지 어디까지 한건지는 또다른 툴들을 이용해야 알 수 있지요. 그럼 어떻게 확실하게 파악할.. 2022. 4. 18.
sshd conf 수정 후 root로 ssh 접근하기 ubuntu에서는 ssh로 root 계정 접근이 처음 설치시 막혀있습니다. 아래 명령어로 보게 되면 빨간색으로 밑줄 친 부분이 보일겁니다. vi /etc/ssh/sshd_config 바로 PermitRootLogin인데요. 말 그대로 루트로그인을 허용한다입니다. 여기에 들어갈 수 있는 옵션은 총 3가지입니다. yes 루트 로그인이 가능하게 됩니다. no 루트 로그인이 불가능합니다. prohibit-password 루트 로그인이 패스워드는 막히지만, key파일 로그인으로는 가능합니다. [예시] root 패스워드 허용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됩니다. # 주석을 지우고 PermitRootLogin yes 이제 설정파일은 됐고, 적용을 해야겠지요? systemctl restart sshd 이제 root로 로그인.. 2021. 9.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