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별 금액 (6인 가구까지 정리)

by 유기농프로그래밍 2025. 3. 1.
반응형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별 금액

2025년부터 적용되는 기준 중위소득과 이에 따른 생계·의료급여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의 주요 지표로 활용되며, 다양한 복지 혜택의 기준이 됩니다. 


지금부터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생계급여 지급 기준, 지원 가능한 복지 혜택까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 목차

1️⃣ 기준 중위소득이란?

  • 중위소득의 정의와 역할
  • 복지 정책에서의 활용

2️⃣ 생계급여 선정기준

  • 생계급여 지원 대상
  • 가구원 수별 생계급여 선정기준 및 지급 방식

3️⃣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별 금액

  •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기준
  • 중위소득 50%~300% 구간별 금액 비교

4️⃣ 중위소득 구간별 주요 지원 기준

  • 각 소득 구간별 적용 가능한 복지 혜택
  •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지원 내용

 

 

 

 


1️⃣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으로, 기초생활보장 제도를 비롯한 여러 복지사업의 선정기준으로 활용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월 6,097,773원으로, 전년 대비 6.42% 인상되었습니다.

 

📌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국내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소득을 의미합니다.
정부는 이를 각종 복지 지원 및 정책 수립의 핵심 기준으로 활용합니다.

 

왜 중요할까?

✔ 기초생활보장제도(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의 선정 기준

✔ 청년·신혼부부 주거 지원, 국가장학금, 건강보험료 지원 등 다양한 정책 적용 기준

✔ 매년 경제 상황에 따라 조정되어 복지 혜택이 변동됨

 

2️⃣ 생계급여 선정기준

📌 생계급여란?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최저 생계를 보장하기 위해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생계급여는 저소득 가구의 기본적인 생계를 지원하기 위한 급여로,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계급여 지급액 계산 방법

💰 생계급여 = 생계급여 선정기준 - 소득인정액

즉, 가구의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생계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선정기준

생계급여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합니다. 가구원 수별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생계급여 선정기준 (원/월)
1인 가구 765,444
2인 가구 1,258,451
3인 가구 1,608,113
4인 가구 1,951,287
5인 가구 2,274,621
6인 가구 2,580,738
7인 가구 2,876,297

 

💡 8인 이상 가구의 경우, 1인 증가 시마다 295,559원씩 증가합니다.

 

3️⃣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별 금액

아래 표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을 50%~300% 구간별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각 가구원 수에 따른 소득 구간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중위소득 대비 (%)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50% 1,196,007원 1,966,329원 2,512,677원 3,048,886원 3,554,096원 4,032,403원
60% 1,435,208원 2,359,990원 3,015,212원 3,658,664원 4,264,915원 4,838,884원
70% 1,674,409원 2,753,861원 3,517,748원 4,268,441원 4,975,734원 5,645,365원
80% 1,913,610원 3,147,733원 4,020,283원 4,878,218원 5,686,553원 6,451,846원
100% (기준) 2,392,013원 3,932,658원 5,025,353원 6,097,773원 7,108,192원 8,064,805원
120% 2,870,416원 4,719,190원 6,030,424원 7,317,328원 8,529,830원 9,677,766원
150% 3,588,020원 5,898,987원 7,538,030원 9,146,660원 10,662,288원 12,097,208원
180% 4,305,625원 7,079,785원 9,045,635원 10,975,987원 12,794,726원 14,516,053원
200% 4,784,026원 7,865,316원 10,050,706원 12,195,546원 14,216,384원 16,129,610원
300% 7,176,039원 11,797,974원 15,076,059원 18,293,319원 21,324,576원 24,194,416원

 

4️⃣ 중위소득 구간별 주요 지원 기준

구간 (기준 중위소득 대비) 지원 내용 및 주요 복지 혜택
50% 이하 생계급여, 의료급여, 기초생활보장 대상
60% 이하 주거급여, 교육급여 지원
70% 이하 일부 지방자치단체 복지 지원 가능
80% 이하 국가장학금 II유형, 긴급복지지원 가능
100% 이하 청년 월세 지원, 건강보험료 지원 혜택
120% 이하 일부 주거지원 정책 대상
150% 이하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출산지원금 등
180% 이하 청년 주거지원 확대, 주택 특별공급 대상 가능
200% 이하 차상위계층 복지 혜택 (양육비, 교통비 지원 등)
300% 이상 고소득층으로 분류, 복지 혜택 제한

 


📌 결론

✔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지원 및 정책 수립의 핵심 기준입니다.

✔ 자신의 가구 소득이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

 

👉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