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버그 심볼은 실행 파일 내에 함수 이름, 변수, 소스 코드의 라인 번호 등 디버깅에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심볼이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파일 타입 확인
- 리눅스에서는 file 명령어를 사용해 바이너리를 검사할 수 있습니다. 출력 결과에 "stripped"라는 단어가 나타나면 디버그 심볼이 제거된 상태입니다.
- not stripped 라면 심볼이 있는거겠죠?
디버깅 심볼 없는 내용 예시
ELF 64-bit LSB pie executable, x86-64, version 1 (SYSV), dynamically linked, interpreter /lib64/ld-linux-x86-64.so.2, BuildID[sha1]=86a8aff22ec98a97400b57ee37f5cd9c57cca0c8, for GNU/Linux 3.2.0, stripped
디버깅 심볼 있는 내용 예시
ELF 64-bit LSB pie executable, x86-64, version 1 (SYSV), dynamically linked, interpreter /lib64/ld-linux-x86-64.so.2, BuildID[sha1]=7fded56e44d4e4da2d603c1f30aebf9d44809251, for GNU/Linux 3.2.0, with debug_info, not stripped
섹션 정보 확인
- readelf -S <파일명> 명령어로 ELF 바이너리의 섹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만약 .debug_info, .debug_line, .debug_str 등의 섹션이 있다면, 디버그 심볼이 포함된 것입니다
디버깅 심볼 없는 내용 예시
readelf -S [파일명] | grep debug
[32] .gnu_debuglink PROGBITS 0000000000000000 01b23d28
디버깅 심볼 있는 내용 예시
readelf -S [파일명] | grep debug
[33] .debug_aranges PROGBITS 0000000000000000 01b3fe70
[34] .debug_info PROGBITS 0000000000000000 01b400f0
[35] .debug_abbrev PROGBITS 0000000000000000 06dbf5da
[36] .debug_line PROGBITS 0000000000000000 06ec3671
[37] .debug_str PROGBITS 0000000000000000 0827a719
[38] .debug_addr PROGBITS 0000000000000000 0a59ef1b
[39] .debug_line_str PROGBITS 0000000000000000 0abfcc6b
[40] .debug_loclists PROGBITS 0000000000000000 0ac076e3
[41] .debug_rnglists PROGBITS 0000000000000000 0ce22584
[42] .debug_str_o[...] PROGBITS 0000000000000000 0d44403d
반응형
'다양한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조하는 객체가 지워졌는지 확인하려면? std::weak_ptr (0) | 2025.04.02 |
---|---|
윈도우11 임시 계정 생성 및 삭제 (0) | 2025.03.31 |
처음 세차하려는데 막막하다면? 이 글 하나로 끝내세요! (2)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