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서버를 설정하다 보면 새로운 사용자를 만들고 로그인 셸을 지정해야 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useradd와 usermod 명령어를 활용해서 사용자 생성부터 셸 설정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실습용 계정 이름은 sampleuser로 진행합니다.
1. 사용자 생성과 홈 디렉토리 지정
sudo useradd -m -d /home/sampleuser -s /bin/bash sampleuser
설명:
- -m: /home/sampleuser 경로에 홈 디렉토리를 생성
- -d /home/sampleuser: 홈 디렉토리 위치 명시
- -s /bin/bash: 기본 셸을 /bin/bash로 설정
- sampleuser: 생성할 사용자 계정 이름
📝 참고: -s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은 /bin/sh 또는 /sbin/nologin일 수 있다. 명시적으로 /bin/bash를 지정해 주는 것이 안전하다.
2. 이미 만든 사용자라면? usermod 사용
만약 사용자를 이미 만들었고 셸만 바꾸고 싶다면, usermod 명령어로 수정 가능합니다.
sudo usermod -s /bin/bash sampleuser
이 한 줄이면 로그인할 때 bash 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됩니다.
3. 제대로 설정됐는지 확인하는 법
grep sampleuser /etc/passwd
출력결과:
sampleuser:x:1001:1001::/home/sampleuser:/bin/bash
마지막 필드가 /bin/bash로 되어 있으면 성공입니다.
4. 비밀번호 설정
sudo passwd sampleuser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바로 로그인 가능한 사용자 계정이 완성됩니다.
반응형
'다양한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aude AI 서비스 상태 확인 방법 (0) | 2025.04.21 |
---|---|
악력기 사용법 완벽 가이드: 효과, 운동법, 주의사항 (0) | 2025.04.17 |
프리미엄 피란 무엇일까? 부동산 분양권의 웃돈 이야기 (1) | 2025.04.16 |
댓글